블로그 이미지
남한산청소년연구회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남한산청소년연구회
    2018. 9. 7. 12:19 카테고리 없음

    ‘시수(sisu)’ 정신의 핀란드 … 1cm 깊이의 작은 발자국

    [리뷰] 『핀란드에서 찾은 우리의 미래 (핀란드는 어떻게 세계 행복지수 1위, 국가 경쟁력 1위 국가가 되었나?)』(강충경, 맥스미디어, 2018.07.)

     

    ‘노블리스 오블리제!’ 핀란드야말로 이 말을 잘 지키는 나라다. 권력층의 윤리의식을 고양하기 위한 사회적 문화 분위기가 확고하게 자리잡았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핀란드에서는 범칙금이 소득에 따라 다르다고 한다. 돈을 많이 벌면 많이 벌수록 벌금을 더 많이 내는 것이다. 실제로 노키아 부사장에 주행 속도를 넘겨 우리나라 돈으로 약 1억 8천만원의 벌금을 냈다. 법칙금을 소득에 따라 달리 매기다니. 이건 혁명이다!

     

    저자 강충경 씨는 호서대 교수 출신으로 바이오 관련 기업 등을 운영하며 핀란드와 직접적인 인연을 맺어 왔다. 그것도 매우 오랫동안 말이다. ‘핀란드통’이다. 알고 봤더니 핀란드는 우리나라와 매우 비슷하다. 핀란드는 심지어 우리와 유사하게 민족 비극을 겪기도 했다. 남북한처럼 3년이라는 긴 시간은 아니었지만, 수개월 동안 많은 사람들, 특히 젊은 사람들과 유아들이 죽었다. 핀란드는 유럽 변방의 소국이었고, 스웨덴한텐 650여 년 동안이나 지배를 당했다. 러시아한텐 108년의 식민지를 겪었다. 세계 대전을 겪고 소련과 2차례 전쟁해서 패했지만, 핀란드는 전 세계 가장 행복한 나라로 꼽힌다.

     

    핀란드가 지닌 경제 강점은 한국과 많이 비슷하다. 재료를 수입해서 조립해 만들어 파는 한국경제와 많이 닮았다. 핀란드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진 후 ‘구상무역(두 나라 사이에 협정을 맺어, 일정기간 서로 수출을 균등하게 하여 무역차액을 영(零)으로 만들고, 결제자금이 필요 없게 하는 무역)’에 방점을 찍어왔다. 살기 위한 최후의 전략이었다. 이 때문에 핀란드 경제는 세계 경제의 파고에 쉽사리 휩쓸려왔다.

     



    한국과 비슷한 역사, 경제의 핀란드

     

    우여곡절과 비극의 역사를 가진 핀란드는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완벽한 사회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유럽연합에서 가장 동쪽에 자리 잡은 핀란드는 그래서 EU 확대에 적극적이다. 수출 주도형 개방 경제로 해외 시장을 확대해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어 정치적 안정 역시 절실히 요청된다.

     

    핀란드는 경제가 파탄난 상황에서도 복지를 늘리기 위한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핀란드의 경제는 선순환 구조다. 바로 ‘혁신-성장-복지-다시 혁신’인 것이다. 하지만 저자에 따르면, 한국은 복지가 없이 ‘혁신-성장-다시 혁신’이라는 단순 반복 모델을 갖고 있다. 복지는 사회를 지탱하는 근간이 된다. 단순히 유권자들의 표를 받기 위한 포퓰리즘이 아니란 뜻이다. 핀란드 국가혁신시스템은 ▲ 위험 감수 ▲ 고용 연계 ▲ 파급효과가 원칙이다.


    무상교육의 천국, 학용품부터 용돈까지 준다

     

    『핀란드에서 찾은 우리의 미래』를 읽으면서 가장 부러웠던 지점은 교육 분야다. 대학교를 나오거나 나오지 않거나 차별이 없다면 사교육의 광풍을 잦아들 것이다. 핀란드와 관련한 OECD 자료를 보면, 학력별 임금 격차가 우리와 얼마나 다른지 알 수 있다. 핀란드는 고졸과 대졸의 임금 격차가 4∼7%에 불과하다. 한국은 대졸이 고졸보다 50%나 더 많은 임금을 받는다. 대학원졸은 더욱 더 많이 받는다. 사정이 이러하니 대학교를 안 갈 수 없다.

     

    문제는 악순환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미 사교육에 퍼부은 돈이 있기 때문에 그걸 회수하려는 보상 심리가 크다. 그렇기 때문에 임금은 계속 격차가 발생하는 것이다. 핀란든 교육은 대학원까지 전부 무상이기 때문에 보상 심리가 없다. 고졸은 본인이 원하는 적성을 찾아 일을 하면 된다. 우스갯소리로 학교에서 공부를 못하는 이들이 평생 공부를 해야 하는 직업에서 전전긍긍한다. 한편, 학교에서 선생님은 기다려주기와 관찰자로 역할 한다. 아이들은 해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해결 능력을 배운다. 아이들에게 심지어 협력과 소통을 강요하지도 않는다.

     

    저자는 “미래는 현재가 결정한다. 내일의 나를 보고 오늘 할 일을 정하기 때문이다.”라고 적었다. 행복한 현실은 내일을 위한 노력에 경주하도록 한다. 책의 서문엔 77세 한 여성 노동자가 남긴 1cm 깊이의 작은 발자국이 소개된다. 평생 같은 자리에서 일해 생긴 발자국은 판지공장에 남은 ‘시수(sisu)’ 정신을 보여준다. 핀란드의 저력은 은근과 끈기에서 비롯한다.

     

    갈수록 떨어지는 출산율과 점점 늘어가는 노인 자살률. 과연 한국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핀란드로부터 과연 우린 무엇을 배워야 할지 같이 고민해봐야 할 것이다.

    posted by 남한산청소년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