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남한산청소년연구회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남한산청소년연구회

    ''에 해당되는 글 1

    1. 2019.03.23 동물의 인도적 안락사, 죽음을 창조한 인간
    2019. 3. 23. 22:58 카테고리 없음

    배신의 충격은 가장 사랑하는 사람이 나를 미워하는 순간에 다가온다. 명분이 뒤집히는 것만큼 배신의 골을 깊게 하는 것은 없다. 과학자들이 과학적이지 못하거나, 인문학자들이 전혀 인문적이지 않은 사고나 행동을 보인다면 학문의 본질은 왜곡된다. 환경 단체, 그것도 동물들의 권리를 주창하는 곳에서 동물들의 안락사를 시행했다면 배신의 파장은 곱절이 된다. 

    동물권 단체 케어에서 내부고발은 그 자체가 충격이다. 케어의 박소연 대표에 대한 진실공방은 법적 잣대에 의해 어떤 결말이 나든 치유될 수 없는 생채기를 남겼다. 박 대표가 말하는 ‘인도적 안락사’라는 것이 어떻게 가능 할까? 안락사 여부는 누가 결정할 수 있을까? 안락사가 동물에게 이익이 되는 것일까? 동물을 보호해달라고 기부한 돈이 동물 안락사에 사용된다면 그 배신감은 곱절이 된다. 유기 동물과 반려동물을 사랑하는 수많은 이들은 분노를 금하지 못하고 있다. 

    케어 박소연 대표는 2015년 1월부터 2018년 9월까지 구조한 동물 중 적어도 230마리를 안락사 시켰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박 대표는 자신의 행위가 대량 살처분과 다른 인도적 안락사이며 병들고 양육이 어려운 동물들만 대상으로 안락사 시켰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케어는 절대 안락사를 하지 않는 보호소라는 명패를 달고 있어 파문이 더욱 컸다. 심지어 어리고 건강한 구조 동물들을 단지 공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무분별하게 안락사 했다. 이를 숨긴 채 모금 활동을 했다는 점에서 온 국민은 분노했다.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과연 무엇이 동물의 복지를 고려해 안락사 한 것이냐는 점이다. 과연 무엇이 ‘인도적’인가? 케어는 구조에만 열을 올리고 사후 보호에는 신경을 쓰지 않았다. 충분히 살 의지와 생명력이 넘치는 유기동물 그리고 구조 동물들의 목숨을 강제로 빼앗는 것을 안락사라고 해서는 안 된다. 어떤 동물을 죽여야 하는지와 같은 기준도 모호했다. 사람들은 유기동물들이 보호받고 동물권리가 확산되기를 바라며 안락사 없는 보호소 케어를 후원해왔다. 우리사회 유기 행위가 줄기를 기대하면서 말이다. 케어 사건은 안락사 보다는 위선과 거짓말로 후원자와 국민을 기만했다는 점이 문제다.

     

    동물권 보호를 주창하는 단체 '케어'는 단체의 이익을 위해 활동하지 않겠다고 명시했다. 하지만 케어의 불가피한 이유로 인도적 안락사를 시행했다. 사진 = 케어 홈페이지 소개

     

    안락사라기보단 위선과 거짓말의 향연

    “더는 이 동물을 돌보기가 힘들어요. 어쩔 수가 없어요.”

    이 말에는 반려동물의 끔찍한 다음 운명이 예고되어 있다.  

    동물에게도 죽음은 삶만큼이나 중요하다. 생태계 내에서 동물들은 죽음을 이해한다. 2010년 스털링대학교 연구원은 침팬지 소집단을 연구하던 중 기이한 행위를 목격했다. 한 마리가 죽어가던 순간 나머지 침팬지들이 몸단장을 시키더니 완전 죽었을 때는 갑자기 수컷 한 마리가 높은 곳으로 올라 펄쩍펄쩍 뛰어 다녔다. 그리고 양손을 모아 죽은 침팬지의 몸통을 두드려 댔다. 입을 들여다보거나 팔다리를 들어 이리저리 움직여보는 침팬지들도 있었다. 침팬지들은 밤새 서성대며 모두 잠을 설쳤다. 회색기러기는 짝을 잃었을 경우 눈이 움푹 가라앉고 고개를 떨어뜨리며 의기소침해한다. 노랑부리까치는 동료가 죽었을 때 사체를 살짝 쪼아 확인을 하고 이후 풀을 조금 가져와 옆에 두어 묵념 후 날아간다. 

    죽음은 그 자체로 삶이 중단되는 일임과 동시에 삶의 기억이다. 어느 생물이건 이유 없이 또 잔인하게 죽고 싶지 않다. 동물들의 죽음 역시 동료에게 삶의 기억으로 남는다. 

     

    10마리의 개가 가스로 안락사 된 장면. 사진 = https://indyweek.com/news/northcarolina/animal-euthanasia-rules-languish-language
     

    인간의 손에 죽음이 통제된 반려동물들

    안락사는 점잖고 수월한 죽음이라는 의미가 있다. 얼핏 고통 받는 동물을 해방시켜주는 행위라는 뉘앙스가 담겨 있다. 하지만 동시에 폭넓은 살해 행위를 품은 불완전함도 담겨 있다. 집이나 안락사 센터처럼 스트레스를 덜 받는 장소에서 주인과 마지막을 함께하거나 안락사 되는 동물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동물의 죽음에 대해 깊이 고민하지 않는다. 안락사의 동기 자체에 구분을 두지 않고 도덕적인 관점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이지도 않는다. 이 때문에 이유 없는 잔인한 안락사가 곳곳에서 자행된다. 

    자신을 죽여 달라고 요청하는 동물은 없다. 반려동물들은 죽음을 선택할 능력이 없기에 이 경우 비자발적 안락사를 당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새 아파트로 이사를 가야하는데 개를 데려갈 수 없다거나, 아이를 낳아 고양이를 돌보기 힘들다는 등 편의에 따라 주인들은 자신의 반려동물을 수의사에게 데리고 가 안락사를 부탁한다. 만약 수의사들이 거부할 경우 버리거나 보호소로 넘긴다. 보호소에 넘겨진 동물들은 얼마간 연장된 목숨을 쥔 채로 새 주인을 기다린다. 하지만 새 보금자리를 얻지 못 할 경우 비참한 신세로 전락한다.  

    우리나라에서 한 해 버려지는 유기견은 거의 10만 마리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자료에 따르면 2008년에 발생한 유기동물 수는 77,877마리로 이중 30.9%가 안락사, 15.9%는 자연사했다. 두 마리 중 한 마리가 버려지는 순간 죽게 된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발표를 보면, 2017년도엔 10만2593마리의 유기·유실동물이 구조됐다. 이 중 안락사 되는 비율은 20.2%로 늘어나는 추세다. 제 주인에게 돌아가거나 분양되는 경우는 줄어들고 있다. 영국에서만 해도 여름 휴가철이면 반려동물을 버리고 휴가를 떠나는 사람들이 많다. 반려동물 천국이라는 미국과 반려동물 비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프랑스 역시 유기동물 문제가 심각하다.
     

    인간의 안락사와 마찬가지로 동물의 안락사 역시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고통을 줄여준다고 할 때, 과연 그 고통이 무엇인지 객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사진 = https://www.petmd.com/blogs/dailyvet/2010/february/cost_euthanasia-5520 


    은밀한 사업이 된 동물 안락사

    재산이 아닌 생명이 되어야 하는 약자들

    지금껏 전 세계 수많은 보호소와 쉼터에서 동물들은 이유도 모른 채 콘크리트 오븐으로 떠밀려 들어갔다. 그곳에서 일산화탄소를 마시며 죽었다. 미국 일리노이 주와 미시간 주, 노스캐롤라이나 주, 텍사스 주는 안락사를 위해 가스실을 아직도 사용한다. 가스실에서 동물이 죽기까지는 길게 30분 이상 걸린다. 수의사가 안락사를 집행하는 경우는 드물다. 현재 우리 법률은 동물을 재산으로 분류하고 있다. 동물의 삶과 죽음에 대한 고유 권리를 인간이 쥐고 있는 것이다. 동물에게서 생명과 자유를 빼앗는 일이 법률 속에 뿌리 깊이 배어 있다. 그래서인지 법이 정당한지 입증해보려는 이들은 거의 없다.  

    법제화 된 안락사는 케어 사건처럼 개인에게 아주 위험한 무기를 쥐어 주는 일이 될 수 있다. 1923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아일랜드 시인 겸 극작가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William Butler Yeats)는 “인간은 죽음을 뼛속까지 안다. 인간이 죽음을 창조했으므로.”라는 말을 했다. 인간은 작은 권력이라도 갖는 순간 자신 외의 다른 이의 불행은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치부한다. 이익만 된다면 칼을 들 정도다. 

    모든 안락사는 ‘동물에게 최선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으로 시작해야 한다. 평생 철창과 개집에서 살거나, 거리를 떠돌거나, 굶주리고 추위에 떨거나, 사고와 괴롭힘을 당하는 것보다 안락사 당하는 것이 과연 더 나은 건지를 말이다. 안락사가 동물의 입장에서 고려해볼 수 있는 것일까? 고통 받는 생명들을 위한 자비로운 행동은 과연 무엇이어야 하는가? 인간의 입장에서 보자면 동물 안락사는 동물들을 손쉽게 처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행위일 뿐이다. 

    동물은 자신들의 대변자를 원한다. 자신들의 입장에서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주는 사람들이 필요하다. 동물에 대한 법제도가 다시금 정립돼야 할 때다. 동물을 끝까지 책임지고 버려진 동물을 공동체가 함께 보살피겠다는 방향으로 말이다. 


    http://www.ibric.org/myboard/read.php?id=303435&Page=&Board=news

    posted by 남한산청소년연구회
    prev 1 next